맨위로가기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은 2008년 9월 9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캡콤의 온라인 액션 게임이다. 2008년 10월 유료화되었고, 2011년 8월 31일 국내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9년 12월 18일 일본 서비스를 종료했으며, 다양한 서버 구성과 게임 시스템, 몬스터, 필드, 퀘스트 분류, 비전서 시스템, G급 시스템, 마이 시리즈, 커뮤니티 기능, 서포트 헌터, 무기 및 방어구, 정기 개최 이벤트 등을 제공했다. 다양한 제휴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운영 문제와 그에 대한 대응,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스터 헌터 - 몬스터 헌터 크로스
    몬스터 헌터 크로스는 닌텐도 3DS와 스위치로 출시된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반복적인 퀘스트, 복잡한 조작법, 높은 진입장벽 등의 단점도 지적되었다.
  • 몬스터 헌터 - 몬스터 헌터 (영화)
    2020년에 개봉한 폴 W.S. 앤더슨 감독의 영화 몬스터 헌터는 캡콤의 인기 게임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며 밀라 요보비치가 주연을 맡아 현실 세계 군인들이 이세계로 넘어가 몬스터와 싸우는 이야기를 그리고 액션과 시각 효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스토리와 인종차별적 대사 논란으로 혼조된 평가를 받았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
    헤일로: 컴뱃 이볼브드는 2001년 엑스박스 콘솔 출시와 함께 등장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마스터 치프가 되어 코브넌트 및 플러드와 싸우는 싱글 플레이 캠페인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독특한 게임 디자인으로 콘솔 게임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FPS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는 인피니티 워드, 트레이아크, 슬레지해머 게임즈가 번갈아 개발하는 1인칭 슈팅 게임 시리즈로, 매년 새로운 시리즈를 출시하며 캠페인, 멀티플레이어, 협동 모드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하고 현실적인 전투 연출과 꾸준한 진화를 특징으로 한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는 2007년에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현대전을 배경으로 하며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과 혁신적인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여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노다메 칸타빌레
    니노미야 도모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는 지휘자를 꿈꾸는 엘리트 음대생 치아키 신이치와 엉뚱한 천재 피아니스트 노다 메구미의 만남과 성장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다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유쾌한 코미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전개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원어 제목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한국어)
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 オンライン (일본어)
로마자 표기Monsuteohanteo Peurontieo Onrain
영어 제목Monster Hunter Frontier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엑스박스 360
플레이스테이션 3
Wii U
플레이스테이션 Vita
플레이스테이션 4
장르액션 롤플레잉 게임
모드다인용 비디오 게임
개발사캡콤
배급사캡콤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 (엑스박스 360 버전)
시리즈몬스터 헌터
출시일
Microsoft Windows2007년 6월 21일
Xbox 3602010년 6월 24일
PlayStation 32013년 11월 20일
Wii U2013년 12월 11일
PlayStation Vita2014년 8월 13일
PlayStation 42016년 11월 22일
제작진
명예 프로듀서사노 겐키
프로듀서미야시타 테루키
게임 사양
지원 운영체제Windows 7
Windows 8
8.1
10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
기타 정보
플레이 인원일반 퀘스트: 1 - 4인
VS 퀘스트: 2 - 8인
대토벌 퀘스트: 4 - 32인 (랭크에 따라 다름)
판매량엑스박스 360: 15,409개 (시즌 9.0 프리미엄 패키지)
콘텐츠 아이콘폭력 표현
서비스 종료2019년 12월 18일, 전체 서비스 종료
Xbox Live엑스박스 360 버전은 골드 멤버십 등록 필요 (G3 이후 트라이얼 코스 범위 내 플레이는 골드 멤버십 없이도 가능)
이미지
엑스박스 360 커버
엑스박스 360 커버

2. 역사

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 オンライン일본어는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시리즈에 구현된 요소와 인터넷을 활용한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길드 시스템, 랭킹 모드, 스카이프에서의 음성 채팅 지원 등 새로운 시스템 외에도 마이 갤러리, 마이 가든, 신규 무기 및 방어구, 『몬스터 헌터 포터블 2nd』의 무기 및 방어구, 제휴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캠페인 장비 및 무기 등이 등장하였다. 신규 몬스터 및 신규 필드도 업데이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추가되었으며, 이후에도 장기적인 신규 시스템 구현을 계획하고 있었다.

Core 2 Duo 또는 Core 2 Quad, Core i 시리즈를 탑재한 PC라면 클라이언트를 2개 동시에 실행하여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했다. HDD 설치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간 로딩 시간은 '''『MH』 시리즈 최속'''을 자랑했다. 이러한 PC 특유의 이점을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많은 플레이어 수, 지속적인 지원, HDD 용량을 허용하는 한에서의 업데이트를 통한 수많은 아이템, 적 캐릭터 추가가 이루어졌다. Xbox 360판 발매일에 슬림화된 Xbox 360 250GB도 함께 발매되었다.

2012년 9월 3일에는 '몬스터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대만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 1. 한국 서비스

날짜내용
2008년 4월 1일몬스터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퍼블리싱 계약 체결
2008년 6월 26일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실시(~29)
2008년 7월 10일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실시(~13)
2008년 8월 1일파이널 테스트 시작(~03)
2008년 8월 7일오픈 베타 테스트 실시
2008년 9월 9일1.0 패치와 함께 정식 서비스 시작
2008년 10월 23일1.5 패치 후 유료화
2008년 12월 1일패키지 아이템 판매
2008년 12월 18일2.0 패치
2009년 2월 12일2차 오픈 베타 테스트 실시 (서버 모든 컨텐츠 무료화)
2009년 6월 2일4.0 테스트서버 오픈
2009년 6월 25일4.5 통합 업데이트 (부분유료화 엑스트라, 프리미엄, 헌터상점)
2011년 5월 28일몬스터헌터 서비스 종료 사전 안내
2011년 6월 2일헌터상점 이용 불가
2011년 8월 31일몬스터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국내 서비스 종료


2. 2. 글로벌 서비스

캡콤은 2010년 2월, 이 게임이 Xbox 360으로 이식되어 2010년 6월 24일에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4] 서양 출시 루머가 있었지만, 이러한 추측은 실현되지 않았다.[5]

다양한 게임 플랫폼에서 더 많은 사용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전반적인 게임 경험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프리셋이 제공되었다. "헤비 모드"는 최고 그래픽 및 오디오 설정으로 게임을 제공하고, "미디엄"은 중간 범위 설정으로 게임을 제공하며, "로우"는 실행에 필요한 최소 설정으로 게임을 제공했다.

캡콤은 온라인 환경에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nProtect GameGuard를 사용했다. 2013년 초,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G''라는 확장팩이 모든 플랫폼에 출시될 것이 확정되었으며, 이는 ''프론티어'' 서비스의 주요 업데이트였다. 이 타이틀은 그해 늦게 PlayStation 3, Wii U, 그리고 PlayStation Vita에 추가되었다.

3. 서버 구성

캡콤은 온라인 환경에서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nProtect GameGuard를 사용했다. 과거에는 PC 버전과 Xbox 360 버전에서 여러 서버가 존재했으며, 현재에도 로그인 시 서버 선택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능은 PS Vita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당시 PC 버전과 PS3 버전 중 어느 쪽의 정식 서비스에 로그인할지 선택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17]

3. 1. 현행 서버 구성 (2018년 8월 1일 이후)

과거에는 PC 버전과 Xbox 360 버전에서 여러 서버가 존재했으며, 현재에도 로그인 시 서버 선택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능은 PS Vita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당시 PC 버전과 PS3 버전 중 어느 쪽의 정식 서비스에 로그인할지 선택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17]

2018년 8월 1일 이후 현행 서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버명플랫폼비고
서버 1PC2013년 9월 18일 서버 2, 서버 3 통합. 2017년 5월 24일 서버 2 (PS4/PS3/PS Vita 전용) 통합. 2018년 8월 1일 서버 4(PC 버전), 서버 W1(PC 버전) 통합.


3. 2. 과거에 운영되었던 서버

PC 버전과 Xbox 360 버전에서 여러 서버가 존재했으며, 현재도 로그인 시 서버 선택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PS Vita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당시에는 이 기능을 통해 PC 버전과 PS3 버전 중 어느 쪽의 정식 서비스에 로그인할지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17]

과거에 존재했던 서버는 다음과 같다. 이 서버에서 플레이하던 플레이어의 데이터는 통합 시 각 존속 서버로 이전되었다.

서버명기종추가된 날짜비고
서버 2PC2007년 6월 29일오픈 베타 2 테스트 기간 중 추가. 2013년 9월 18일에 서버 1에 통합.
서버 3PC2007년 6월 29일서버 2와 마찬가지로, 오픈 베타 2 테스트 기간 중 같은 날에 추가. 2013년 9월 18일에 서버 1에 통합.
서버 4Xbox 360, PC[14]2010년 5월 13일클로즈드 베타 테스트 기간 중 추가 (단, 클로즈드 베타 시대의 데이터는 삭제되었으며, 현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오픈 베타 이후의 것). 2011년 3월 30일에 서버 5를 통합. 2018년 8월 1일부로 PC 버전은 서버 1에 통합되었고, XBOX 360 버전은 서비스 종료.
서버 5Xbox 3602010년 6월 24일오픈 베타 테스트 기간 중 추가. 2011년 3월 30일에 서버 4에 통합.
서버 P1PS32014년 4월 23일해당 기종의 선행 체험 테스트부터 추가 (단, 클로즈드 베타 종료 시 한 번 데이터가 삭제됨). PC 버전 서버에 통합.
서버 W1Wii U, PC[14]해당 기종의 선행 체험 테스트부터 추가 (현재 저장되어 있는 것은 오픈 베타 이후의 것). 2018년 8월 1일부로 PC 버전은 서버 1에 통합되었고, XBOX 360 버전은 서비스 종료.
서버 2 (PS4/PS3/PS Vita 전용)PS4/PS3/PS Vita2016년 11월 26일2017년 5월 24일까지 운영. 2017년 5월 24일에 서버 1에 통합.



이 외에도 PS Vita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당시에는 테스트용 전용 서버가 준비되었다. 이 서버에는 준비 작업 시점의 서버 1의 데이터가 복제되었고, PS3 버전 플레이어의 PS Vita와의 데이터 공유 및 PC/PS3와 PS Vita가 혼재된 환경에 대한 테스트도 이루어졌다. PS Vita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종료 시 운영을 중단했으며, 데이터도 서버 1에 피드백되지는 않았다. 다만, 일정 조건을 만족한 것에 따른 특전은 서버 1의 해당 계정에 부여되었다.

PS4 버전의 선행 체험 테스트 때에도 전용 서버가 준비되었으며, 이 서버에는 2016년 10월 12일의 유지 보수 시점의 서버 1의 데이터가 복제되었다.[18] 이 또한 PS4 버전 선행 체험 전용 서버이지만, 일정 조건을 만족한 것에 따른 특전은 PS4 버전의 정식 서비스 시작 후 서버 1의 해당 계정에 부여되었다.

2017년 2월 8일 ~ 2월 15일에도, 같은 해 1월 25일 현재의 데이터를 복제한 서버 강화 테스트용 서버가 준비되었다.

4. 게임 시스템

캡콤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nProtect GameGuard를 사용했다.[4] 2013년 초에는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G''라는 확장팩이 모든 플랫폼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며, 이는 ''프론티어'' 서비스의 주요 업데이트였다. 이 타이틀은 그해 말 PlayStation 3, Wii U, PlayStation Vita에 추가되었다.[5]

다양한 게임 플랫폼에서 더 많은 이용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전반적인 게임 환경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설정 프리셋이 제공되었다. "헤비 모드"는 최고 그래픽 및 오디오 설정, "미디엄"은 중간 설정, "로우"는 실행에 필요한 최소 설정을 제공했다.

4. 1. 신규 요소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시리즈에 구현된 요소와 인터넷을 활용한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 길드 시스템, 랭킹 모드, 스카이프(Skype)에서의 음성 채팅 지원 등 새로운 시스템 외에도 마이 갤러리, 마이 가든, 신규 무기 및 방어구, 『몬스터 헌터 포터블 2nd』의 무기 및 방어구, 제휴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캠페인 장비 및 무기 등이 등장한다.
  • 신규 몬스터 및 신규 필드도 업데이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추가되었으며, 이후에도 장기적인 신규 시스템 구현을 계획하고 있다.
  • Core 2 Duo 또는 Core 2 Quad, Core i 시리즈를 탑재한 PC라면 클라이언트를 2개 동시에 실행하여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 HDD 설치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간 로딩 시간은 '''『MH』 시리즈 최속'''을 자랑한다.


이러한 PC 특유의 이점을 활용한 온라인상에서의 많은 플레이어 수, 지속적인 지원, HDD 용량을 허용하는 한에서의 업데이트를 통한 수많은 아이템, 적 캐릭터 추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Xbox 360판 발매일에 슬림화된 Xbox 360 250GB도 함께 발매되었다.

; HR 해방 시련

: 시즌 2.0부터 등장한, HR 캡 해방을 위한 시스템이다. "지정된 몬스터를 솔로로 토벌한다", "규정액의 제니를 기부한다", "지정량의 흑화를 납품한다" 중 하나를 달성하면 HR 캡을 해방한다. 당초에는 사양상의 HR 상한도 단계적으로 인상되었으며,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구현되었다. HR800 이상의 해방 시련에서는 전설의 몬스터나 그 아종을 솔로로 토벌해야 했으며, 특히 HR999의 해방은 포워드.5까지 해당 몬스터의 솔로 토벌 외의 방법이 없었다. G10에서 HR 시스템이 변경되어 폐지되었다.

; 시리즈 퀘스트

: 광장의 접수 NPC "미즈키"로부터 수주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포워드.2부터 등장했다. 수주한 시나리오에 따라, 통상 퀘스트에서의 몬스터 사냥이나, NPC에게 아이템 납품으로 시나리오를 진행해나간다. 상시 배포로 게임의 기초적인 내용 등을 들을 수 있는 "비기너 시리즈"와, 이벤트로 배포되어 오리지널 무기나 방어구 등을 얻을 수 있는 "베테랑 시리즈"가 존재하며, 일부 아이템의 교환도 시리즈 퀘스트로 취급된다.

; 호르크

: 포워드.2부터 등장한, 각 플레이어에게 부속되는 형태로 동행하는 NPC. 외형은 가브라스와 닮았다. 퀘스트 소요 시간에 따라 진행하는 훈련으로 성장하며, 퀘스트 종료 시에 랜덤으로 떨어뜨리는 "배움의 서"로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다.

; 스토리 퀘스트

: G3부터 구현되었으며, 라스타 술집 맞은편에 등장한 "기수의 샘"과, 거기에 있는 가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스토리이다. 시리즈 퀘스트보다 표현력이 향상되었으며, GG 이후에는 천룡곤의 해금(10주년 기념 업데이트로 조건 완화)이나 레전드 라스타의 능력[89]에도 관여하고 있다.

; 헌터 네비

: GG부터 등장했으며, 게임 내 시스템 등에 대한 가이드가 준비되어 있고,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길드 마스터 교체

: G5에서 길드 마스터의 캐릭터가 변경되었다. 구 길드 마스터는 G6 이후 천랑의 관리인으로 등장하고 있다[90]

; 초월 비기

: 일정 시간, 무기의 속성의 힘을 끌어내어 헌터 자신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HR3~ (G9.1까지는 HR31~) 이용 가능하다. 퀘스트 중의 시간 경과나 공격의 히트로 비기 게이지를 모으고, 이것이 MAX가 되면 발동 가능해진다. 발동시키면 무기의 속성치 등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는 외에, 발동 중에 일정 데미지를 주면 축적된 힘을 해방하여 특수한 상태 이상을 발생시키는 "육화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육화선무를 사용하면 그 플레이어의 초월 상태는 해제된다(히트하지 않은 경우 몬스터에게 축적되어 있던 데미지는 그대로).

4. 2. 몬스터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된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에는 여러 신규 몬스터가 추가되었다. 다음은 MHF-Z에서 추가된 몬스터들이다.

업데이트 날짜몬스터 종류몬스터 이름
2016년 11월 9일천리종(최초 구현)
2016년 11월 22일오리지널 몬스터제나세리스
2016년 12월 21일천유종고어 마가라
2017년 2월 1일오리지널 몬스터케오알보르[22]
2017년 4월 19일천유종샤갈마가라
2017년 7월 5일오리지널 몬스터엘제리온
2017년 11월 1일천유종아마츠마가츠치
2018년 9월 26일오리지널 몬스터보가바돌름



과거에는 HR 캡 해방을 위한 시스템으로 HR 해방 시련이 있었다. 시즌 2.0부터 등장했으며, "지정된 몬스터를 솔로로 토벌", "규정액의 제니를 기부", "지정량의 흑화를 납품" 중 하나를 달성하면 HR 캡이 해방되는 방식이었다. HR800 이상의 해방 시련에서는 전설의 몬스터나 그 아종을 솔로로 토벌해야 했으며, 특히 HR999 해방은 포워드.5까지 해당 몬스터를 솔로로 토벌해야만 했다. 그러나 G10에서 HR 시스템이 변경되면서 이 시스템은 폐지되었다.

4. 3. 필드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업데이트를 통해 신규 필드가 순차적으로 추가되었다. MHF-Z에서는 오리지널 필드인 '''채색의 폭포'''가 구현되었다.[21]

4. 4. 독자적 카테고리

独りきり|히토리키리일본어 카테고리는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MHF)에서만 볼 수 있는 독자적인 콘텐츠와 시스템을 의미한다.

  • 초월 비기: 2015년 4월 15일 G7 업데이트로 추가된 시스템이다. HR3 이상(G9.1 업데이트 이전에는 HR31 이상)부터 이용 가능하며, 일정 시간 동안 무기의 속성 힘을 끌어내 헌터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퀘스트 진행 시간 경과나 공격으로 비기 게이지를 모아 최대치에 도달하면 발동 가능하다. 발동 시 무기의 속성치가 일시적으로 강화되며, 일정 데미지를 주면 축적된 힘을 해방해 특수한 상태 이상을 일으키는 "육화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육화선무 사용 시 초월 상태는 해제된다.[20]

  • HR 해방 시련: 시즌 2.0부터 도입된 시스템으로, HR 상한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했다. 지정된 몬스터를 혼자 사냥, 일정 금액의 제니(게임 내 화폐) 기부, 지정된 양의 흑화 납품 중 하나를 달성해야 했다. 초기에는 HR 상한이 단계적으로 상승했고, 이에 맞춰 해방 시련도 순차적으로 구현되었다. HR800 이상에서는 전설의 몬스터나 그 아종을 혼자 사냥해야 했으며, 특히 HR999 해방은 포워드.5까지 해당 몬스터를 혼자 사냥해야만 했다. G10 업데이트에서 HR 시스템 변경으로 폐지되었다.

  • 시리즈 퀘스트: 포워드.2부터 등장했으며, 광장의 접수 NPC "미즈키"에게서 받을 수 있는 시나리오다. 몬스터 사냥이나 아이템 납품을 통해 이야기를 진행한다. 상시 배포되는 "비기너 시리즈"에서는 게임의 기초적인 내용을, 이벤트로 배포되는 "베테랑 시리즈"에서는 오리지널 무기나 방어구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아이템 교환도 시리즈 퀘스트로 취급된다.

  • 호르크: 포워드.2부터 등장한, 각 플레이어에게 소속되어 동행하는 NPC다. 가브라스와 유사한 외형을 가졌다. 퀘스트 소요 시간에 따른 훈련으로 성장하며, 퀘스트 완료 시 무작위로 얻는 "배움의 서"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 스토리 퀘스트: G3부터 구현되었다. 라스타 술집 맞은편 "기수의 샘"과 가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시리즈 퀘스트보다 표현력이 향상되었으며, GG 이후에는 천룡곤 해금(10주년 기념 업데이트로 조건 완화)이나 레전드 라스타의 능력[89]에도 영향을 미친다.

  • 헌터 네비: GG부터 등장한 시스템으로, 게임 내 시스템 가이드가 제공되며, 과제 수행 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길드 마스터 교체: G5에서 길드 마스터 캐릭터가 변경되었다. 이전 길드 마스터는 G6 이후 천랑 관리인으로 등장한다.[90]

4. 5. 퀘스트 분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퀘스트 분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원본 소스에서 퀘스트 분류를 설명하는 내용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빈 내용으로 출력한다.

4. 6. 비전서 시스템

초월 비기는 G7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시스템으로, 일정 시간 동안 무기의 속성 힘을 끌어내 헌터 자신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HR3~(G9.1까지는 HR31~)부터 이용 가능하다.[20]

퀘스트 진행 시간 경과나 공격을 통해 비기 게이지를 모을 수 있으며, 게이지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발동 가능하다.

발동 시 무기의 속성치가 일시적으로 강화되며, 발동 중 일정량의 피해를 입히면 축적된 힘을 해방하여 특수한 상태 이상을 유발하는 "육화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육화선무 사용 시 해당 플레이어의 초월 상태는 해제된다 (공격이 빗나간 경우 몬스터에게 축적된 피해량은 유지된다).

4. 7. G급 시스템

2013년 4월 17일 MHF-G1 업데이트를 통해 G급 시스템이 정식 도입되었다. G급에서는 신규 필드 '극해'와 여러 오리지널 G급 몬스터들이 순차적으로 추가되었다. 메제포르타 광장이 새롭게 단장되었고, 다양한 개선 작업도 함께 이루어졌다.

G급 시스템과 관련된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업데이트날짜주요 내용
MHF-G12013년 4월 17일G급 시스템 정식 도입, 신규 필드 극해, 오리지널 G급 몬스터 추가, 메제포르타 광장 리뉴얼
MHF-G22013년 7월 10일오리지널 몬스터 고우가르프 추가
MHF-G32013년 10월 16일오리지널 몬스터 발라갈, 신규 콘텐츠 가희 추가
MHF-GG2014년 4월 23일신규 무기종 천룡곤, 오리지널 몬스터 포로쿠루루, 울키, 신규 필드 꽃밭, 화구 심부 추가
MHF-G52014년 7월 23일오리지널 몬스터 이나가미, 신규 필드 대나무 숲 깊은 곳, 파트냐 시스템 추가
MHF-G62014년 11월 19일오리지널 몬스터 포볼발름 추가
MHF-G72015년 4월 15일오리지널 몬스터 하르드멜그, 초월 비기 시스템 추가
MHF-G82015년 7월 22일오리지널 몬스터 가스라바즈라, 천유 몬스터 진오우거 추가
MHF-G92015년 11월 18일라비엔테 맹광기(G급 라비엔테), 오리지널 몬스터 토리도크레스 추가
MHF-G102016년 4월 21일신규 무기종 슬래시 액스 F, 오리지널 몬스터 구안조름, 에규라스, 신규 필드 운견 요새 추가



G10 업데이트에서는 G급 이전의 시스템이 대규모로 개편되었으며, HR 시스템이 변경되어 HR 캡 해방 시련이 폐지되었다.

4. 8. 개체 바리에이션

個体バリエーション일본어

; 변종 몬스터·기종 몬스터

: HR5[42] 이상이 되면 수주·참가할 수 있는 몬스터이다.

: 변종은 시즌 2.0, 기종은 포워드.4부터 등장했다.

: 변종은 통상종, 기종은 아종과 같은 외형을 하고 있지만, 육질, 유효한 속성, 공격력이나 체력에 차이가 있으며, 몬스터를 사냥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소재도 HR4 이하의 퀘스트에 등장하는 것과 다르다.

: 변종·기종이나 후술할 강종은 퀘스트의 랭크대에 따른 분류이며, 후술할 개체 변형과는 다른 설정이다(단, '강종이면서 어린 개체 or 격노 개체'라는 설정의 퀘스트는 확인되지 않았다[43]).

; 강종 몬스터

: 고룡종 및 시즌 4.0 이후의 신규 몬스터에서의 HR5[42] 이후의 개체이다. 원래는 시즌 3.5 이후 등장했던 고룡종의 변종을, 시즌 4.0에서 고룡종 이외에도 확대한 것이다.

: 공격력이 전반적으로 높고[44], 공격 패턴이 강종에만 있는 특수한 것이 많다.

: 클리어하면 사냥한 몬스터의 소재 외에 퀘스트 보상으로 "토벌의 증표"를 얻을 수 있으며, 모으면 "강종 무기"(포워드.1부터 강종 방어구도 구현)를 제작·강화할 수 있다.

: 포워드.5 이후, G급 이전에도 등장하는 신규 오리지널 몬스터는 이 강종이 첫 등장 랭크가 되었다.

; 패종 몬스터

: 강종이나 후술할 특이 개체의 더욱 위를 가는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이다. 포워드.4에서 UNKNOWN이 선행 등장하고, 포워드.5에서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 수주·참가 조건은 HR6[45] 이상이다.

: 그전까지의 랭크대에서도 등장하는 몬스터 중 패종에 대응하는 것은 오디바토라스, UNKNOWN, 파리아프리아, 드라규로스, 테오·테스카토르의 5종이다. 이 외에, 패종 한정 몬스터로 아르가노스와 골가노스가 존재한다(아르가노스와 골가노스는 동시에 출현하는 2두 퀘스트가 된다).

; 천유종

: G8 이후 "MH3 이후[46]의 몬스터가 최근 메제포르타에서도 확인되게 되었다"라는 설정 하에 추가되는 몬스터이다.

: 퀘스트의 수주 랭크는 HR5~와 GR100~ (2017년 4월의 업데이트까지는 GR500~)의 2가지가 있다.

: G8에서는 "뇌랑룡 '''진오우거'''", "공폭룡 '''이블조'''"가 순차적으로, G8.1에서 "쇄룡 '''브라키디오스'''"가 등장했다.

: G9에서는 "빙아룡 '''베리오로스'''", "폭퇴룡 '''우라간킨'''"이, G10에서는 "질룡 '''나르가쿠르가'''", G10.1에서 "옥랑룡 '''진오우거 아종'''"이 추가되었다.

: Z에서는 "흑식룡 '''고어 마가라'''"가, 2017년 4월의 업데이트에서 "천회룡 '''샤갈마가라'''"가 추가되었다.

: 2017년 11월의 업데이트에서는 "'''람룡 아마츠마가츠치'''", 2018년 4월의 업데이트에서는 "'''천인룡 셀레기오스'''"가 추가되었다.

4. 9. 마이 시리즈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시리즈에 구현된 요소와 인터넷을 활용한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마이 갤러리, 마이 가든 등 PC 특유의 이점을 활용하여 온라인 상에서의 많은 플레이어 수, 지속적인 지원, HDD 용량을 허용하는 한에서의 업데이트를 통해 수많은 아이템, 적 캐릭터 추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4. 10. 커뮤니티 기능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은 길드 시스템, 랭킹 모드, 스카이프(Skype)를 이용한 음성 채팅 지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한다.[20]

4. 11. 서포트 헌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서포트 헌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4. 12. 무기 및 방어구

몬스터 헌터 2(dos)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시리즈에 구현된 요소들과 인터넷을 활용한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마이 갤러리, 마이 가든, 신규 무기 및 방어구, 『몬스터 헌터 포터블 2nd』의 무기 및 방어구, 제휴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캠페인 장비 및 무기 등이 등장한다.[20]

2014년 4월 23일 GG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무기종 '천룡곤'이 추가되었다. 2016년 4월 21일 G10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무기종 '슬래시 액스 F'가 추가되었고, 2018년 9월 26일 ZZ 업데이트에서는 신 무기종 '마그넷 스파이크'가 추가되었다.

4. 13. 정기 개최 이벤트

定期開催イベント일본어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대규모 이벤트도 존재한다. 2017년 7월 현재 특히 대규모인 것으로는 "사냥꾼 축제", "가희 수호전·진설"의 2가지가 있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공식 수렵 대회"도 정기 개최 이벤트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설 콘텐츠이면서 정기 개최 이벤트에 가까운 취급을 받는 "수련도"도 이 항목에서 다룬다.

; 사냥꾼 축제

: 시즌 2.5부터 등장. 참가 가능 HR에 제한은 없지만 헌터 라이프 코스는 필수이다.[83]

: 참가 엽단 단위로 푸른 조와 붉은 조로 나뉘어 기간 내에 몬스터의 수렵이나 채집 등에 걸린 득점(혼)을 모아 경쟁하는 이벤트이다.

: 가끔 전 서버에서의 합계 입혼수에 따라 포상이 결정되는 "승리 고양이의 도전장"이라는 규칙으로 개최되기도 한다.

: 엽단장이 참가 표명을 하는 "등록제", 실제로 득점(혼)을 모으는 "입혼제", 승패나 입혼한 수에 따라 포인트 등을 받을 수 있는 "포상제"라는 기간이 설정되어[84], 참가자는 승패에 관계없이 특수 리치 무기 생산에 필요한 "제전의 증표"와 아이템과 교환할 수 있는 "제전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 승리한 조의 캐릭터는 승리조 퀘스트에 참가할 수 있으며, 특수 리치 무기 강화에 필요한 "제전의 추억"을 입수할 수 있다. 특수 리치 무기는 이 사냥꾼 축제에 참가함으로써 얻는 것이 많다.

; 공식 수렵 대회

: 사냥꾼 축제의 등록제 기간 중 주말에 개최되는 이벤트이다.

: 엽단 멤버로 팀을 짜 퀘스트 달성까지의 시간을 겨루는 "엽단 대항 위타천배", 개인적으로 퀘스트 달성까지의 시간을 겨루는 "위타천배", 퀘스트 중에 낚은 물고기의 크기를 겨루는 "거대어배"의 3가지가 존재한다.

: 거대어배는 그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필드에 갈 수 있는 HR이라면 헌터 라이프 코스 필수이면서 누구나 참가 가능. 위타천배 2종은 개최마다 필요 HR이 달라진다.

; 가희 수호전·진설

: G10.1부터 개최된 "가희 수호전"을 전신으로 하는 이벤트이다. MHF-Z에서 "가희 수호전·진설"로 개칭되었다. HR2 이상으로 참가 가능하며, 헌터 라이프 코스는 불필요하다(일부 퀘스트에서는 필요).

: 설정상 G10에서 신규 G급 퀘스트에 등장하는 고룡종 퀘스트 배신에 연동했던 이벤트 "황혼에 흔들리는 영창곡"의 속편이며, 플레이어의 동향에 따라 포상이 변화하는 외에 연동 요소로 "기가 무기"가 존재한다.

: 기간은 몬스터의 수렵으로 획득하는 "가옥"을 모아 1일마다 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정하는 "기도의 장"과 그 효과를 받을 수 있는 "전가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 "전가의 장"에서는 MHF-Z부터 엽단 단위로 참가하는 콘텐츠 "엽단 요격전"이 추가되었다.

: 엽단 요격전에서는 전황 MAP이 엽단마다 준비되어, 전용 "요격전 퀘스트"를 클리어함으로써 전황이 유리해지고, 일정까지 마스를 진행함으로써 다음 주의 "가영의 장"에서 전용 엽단 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수련도

: 10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부터 천랑 원정록 대신 시작된 이벤트이다. GR1 이상으로 참가 가능하다.

: "진짜 사냥"을 콘셉트로 내걸고 있으며[85], 상기 이벤트와 달리 기간을 묻지 않고 항상 도전할 수 있는 상설 콘텐츠가 되었다.

: 플레이어는 퀘스트 출발 후 2종류의 몬스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토벌할 때까지 베이스 캠프로 돌아갈 수 없으며, 토벌 후 자동으로 베이스 캠프로 돌아가 다음 몬스터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 1종의 몬스터(베이스 캠프에서의 선택도 포함, 1 스테이지라고 칭함)마다의 제한 시간은 50분이지만,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하면 제한 시간이 리셋된다. 캐러밴 퀘스트와 마찬가지로, 힘이 다한 횟수는 플레이어마다 판정되며, 1~3회까지 부활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부활할 수 없을 때까지 힘이 다하거나, 1마리의 몬스터에 50분 이상 시간이 걸리거나, 혹은 스스로 "강제 이탈"(리타이어에 해당)을 선택하지 않는 한, 무한정 몬스터를 사냥할 수 있다.

: 몬스터의 박피는 할 수 없지만, 몬스터 토벌·부위 파괴마다 "수련도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며, 소재와의 교환이 가능하다. 일부 아이템은 1주일에 교환할 수 있는 수가 정해져 있으며, 정기 점검으로 리셋된다.

: 천랑 원정록과 마찬가지로 아이템 반입이나 일부 스킬, 특수 효과가 무효화되는 외에, 원정록과 유사한 "수련도 랭크", "수련도 스킬"이 있다.

: 10 스테이지마다 "'''초특수 몬스터'''"에 도전할 수 있으며, 일정 스테이지 달성 시 "'''천랑의 번인'''" 토벌 퀘스트에 한 번만 도전할 수 있다. "천랑의 번인" 토벌 퀘스트의 사양은 수련도와 달리, 천랑 원정록과 같은 규칙이 적용된다.

이하는 폐지 또는 통합·상설화된 것.

; 극한 정벌전

: G2 이후 정기적으로 개최되었던 이벤트이다. 2017년 11월 업데이트에서 앞서 언급한 "극정 퀘스트"와 "지천 퀘스트"로 상설화되었다.

: 기본 시스템은 "극정 퀘스트"와 "지천 퀘스트"에 준하지만, 극한 정벌전에서는 극정 퀘스트에 관하여, 몬스터의 Lv가 레벨 1부터 시작하여, 토벌에 성공할 때마다 LV가 올라가는 구조였다.

: 기간 내에 몬스터의 레벨을 어디까지 올릴 수 있었는지를 겨루는 랭킹 요소도 있지만, 주된 목적은 G급 무기·G급 방어구의 성능 한계를 넘기 위한 소재이다(이 소재는 상설화된 후에도 입수 가능).

: 지천 퀘스트는 "지천 정벌전"으로 칭하여 MHF-G5.1에서 추가되었으며, 극한 정벌전 배신 기간 중에 동시 개최되었다.

: 지천 정벌전의 규칙이나 시스템은 현재의 지천 퀘스트와 같지만, 상급 지천 퀘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상설화에 맞춰 추가).

: 원래는 G급 헌터 한정 이벤트이지만, G9 이후 G급 이전의 플레이어도 엽단 대항의 포인트를 겨루는 "엽단 정벌전"에는 시간대별로 정해진 몬스터를 일정 수 사냥하는 형태로 지원으로서 참가 가능했다(상설화에 따라 폐지).

; 팔로네 대항제

: GG에서 등장. 베이스가 캐러밴의 항로 퀘스트이기 때문인지 헌터 라이프 코스는 필수, 참가 가능 HR은 17〜(G10에서는 HR2〜)이지만 HR이나 GR에 따라 참가 가능한 항로가 증가한다.

: 기본은 캐러밴의 항로 퀘스트이지만, 항로의 내용은 캐러밴과는 별도로 설정된다.

: 획득한 CP에서 산출된 스코어를 겨루는 랭킹 요소도 있다.

: G10에서 종료되어 G10.1부터 "가희 수호전"으로 대체되었다.

; 천랑 원정록

: G6에서 등장. 천랑이라고 불리는 던전을 탐색하는 타입의 이벤트이다.

: 참가 조건은 구역에 따라 다르지만, 최하층의 제1구역은 헌터 라이프 코스도 불필요[86]하고 HR 제한도 없다.

: 이 이벤트에서는 천랑 무기·천랑 방어구에 관한 소재를 획득할 수 있다.

: 또한, 40 플로어마다 혹은 랜덤 조건으로 출현하는 "천랑의 번인"이라는 강력한 몬스터와 싸운다는 실력 시험 요소도 존재하며, 대토벌 등 다른 콘텐츠와 병행 가동시킴으로써 발생한 문제[87]의 수정을 포함한 대규모 리파인을 위해 배신이 휴지되어 있었던 G10〜G10.1에서도 가끔 "천랑의 번인"과 싸우는 것만 배신되었다.

: 2016년 11월(MHF-Z)부터 배신이 재개되었지만, 로딩 시간이 길게 걸리는 문제점 등이 있어, 모든 정기 개최 이벤트를 재검토해 가는 중에 천랑 원정록을 종료시키고, 새롭게 다른 콘텐츠(수련도)를 준비하는 방침[88]이 되어, 2017년 6월 배신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또한 "천랑의 번인"은, 수련도에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천랑 원정록 사양의 퀘스트에 도전 가능하게 되었으며, 천랑 원정록 독자적인 "타워 랭크"는 수련도의 "수련도 랭크"로 변환된다.

; HR 해방 시련

: 시즌 2.0부터 등장한, HR 캡 해방을 위한 시스템이다.

: "지정된 몬스터를 솔로로 토벌한다", "규정액의 제니를 기부한다", "지정량의 흑화를 납품한다" 중 하나를 달성하면 HR 캡을 해방한다.

: 당초에는 사양상의 HR 상한도 단계적으로 인상되었으며,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구현되었다. HR800 이상의 해방 시련에서는 전설의 몬스터나 그 아종을 솔로로 토벌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특히 HR999의 해방은 포워드.5까지 해당 몬스터의 솔로 토벌 외의 방법이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 G10에서 HR 시스템이 변경되어 폐지되었다.

; 시리즈 퀘스트

: 광장의 접수 NPC "미즈키"로부터 수주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포워드.2부터 등장.

: 수주한 시나리오에 따라, 통상 퀘스트에서의 몬스터 사냥이나, 그녀에게 아이템 납품으로 시나리오를 진행해나간다.

: 상시 배포로 게임의 기초적인 내용 등을 들을 수 있는 "비기너 시리즈"와, 이벤트로 배포되어 오리지널 무기나 방어구 등을 얻을 수 있는 "베테랑 시리즈"가 존재하며, 일부 아이템 교환도 시리즈 퀘스트로 취급된다.

; 호르크

: 포워드.2부터 등장한, 각 플레이어에게 부속하는 형태로 동행하는 NPC이다. 외형은 가브라스와 닮았다.

: 퀘스트 소요 시간에 따라 진행하는 훈련에서의 성장, 퀘스트 종료 시 랜덤으로 떨어뜨리는 "배움의 서"에 의한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다.

; 스토리 퀘스트

: G3부터 구현. 라스타 술집 맞은편에 등장한 "기수의 샘"과, 거기에 있는 가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스토리이다.

: 시리즈 퀘스트보다 표현력이 향상되었으며, GG 이후에는 천룡곤의 해금(10주년 기념 업데이트로 조건 완화)이나 레전드 라스타의 능력[89]에도 관여하고 있다.

; 헌터 네비

: GG부터 등장. 게임 내 시스템 등에 대한 가이드가 준비되어 있으며,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길드 마스터 교체

: G5에서 길드 마스터의 캐릭터가 변경되었다. 구 길드 마스터는 G6 이후 천랑의 관리인으로 등장하고 있다.[90]

; 초월 비기

: 일정 시간, 무기의 속성 힘을 끌어내어 헌터 자신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HR3~ (G9.1까지는 HR31~) 이용 가능.

: 퀘스트 중의 시간 경과나 공격의 히트로 비기 게이지를 모으고, 이것이 MAX가 되면 발동 가능해진다.

: 발동시키면 무기의 속성치 등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는 외에, 발동 중에 일정 데미지를 주면 축적된 힘을 해방하여 특수한 상태 이상을 발생시키는 "육화선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육화선무를 사용하면 그 플레이어의 초월 상태는 해제된다(히트하지 않은 경우 몬스터에게 축적되어 있던 데미지는 그대로).

5. 평가

狩猟団|수렵단일본어 시스템은 다른 온라인 게임의 "길드", "클랜"에 해당하며, 플레이어 간에 자유롭게 조직할 수 있다. 사냥단 랭크라는 레벨이 존재하며, 캐릭터가 가진 사냥단 포인트를 소비하여 올릴 수 있다. 랭크를 올리면 사냥단에 마련된 다양한 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상한은 17이다. 사냥단마다 소유할 수 있는 사냥단 방도 있으며, 사냥단 퀘스트 등 사냥단 방에서만 수주할 수 있는 퀘스트도 존재한다. 동맹 기능도 존재하여, 3개까지의 사냥단으로 동맹을 맺을 수 있다(1동맹당 최대 인원은 180명). 동맹 내에서는 수렵대회의 조 편성이 같아지지만, 등록 자체는 사냥단별로 할 필요가 있다.

다른 회사에는 없는 서비스로, 격주로 업데이트되는 운영 보고서와 동영상 버전 운영 보고서가 있다. 공식 트위터도 시작되었다.[93] 매주 게임 내 이벤트가 실시되고 있으며,[94] 1주 단위로 배포되는 "기간 한정 퀘스트"나 2주 정도 배포되는 오리지널 이벤트 퀘스트 등이 있다. 이러한 이벤트에서는 이벤트 한정 무기나 방어구를 입수할 수 있으며, 그것들이 빈번하게 배포됨으로써 게임 내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타임 어택을 겨루는 "공식 수렵 대회"나 "VS. 퀘스트"도 진행되고 있다. G7 이후에는 앞서 언급한 정기 개최 이벤트가 매주 로테이션으로 개최되고 있다.

시즌 9.0 첫날에 동시 접속자 수 7만 명을 기록했다(PC 버전과 Xbox 360 버전을 합산한 것).[95] 패키지 누적 판매량이 60만 개를 넘어섰으며(PC 버전과 Xbox 360 버전을 합산한 것),[96] 3주년 한정 패키지는 인기가 높아 예약 시작 후 즉시 매진, 발매 당일에 매장 재고분도 즉시 매진되었다.

작품 수상 이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수상 내역
2008년Amazon PC 게임 부문 1위
2009년Amazon PC 게임 부문 1위
2010년Amazon PC 게임 부문 1위[97]
2008년WebMoney Award BestGames상 (2009년 이후는 엔트리 없음)
2010년「Yahoo! JAPAN 5000만 명이 선택! 넷 순위 2010 결선 투표!」 게임 부문 10위
2010년패미통 조사, 2010년 게임 소프트 판매량 Xbox 360 부문 1위
온라인 게임 넷카페 가동 랭킹 1위[98]
【Xbox 360 다운로드 판매 랭킹】『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G』 연속 1위[99]
2013년Xbox Live 2013년 온라인 게임 랭킹 플레이어 수 1위 & 총 플레이 시간 1위[100]



캡콤 사내에서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 2012년 3월기 제2분기(누계) 실적 예상 수치 수정 (2011년 4월 1일 ~ 2011년 9월 30일)[101]
  • 2012년 3월기 연결 실적 (2011년 4월 1일 ~ 2012년 3월 31일)[102]

6. 운영 문제 및 대응

캡콤은 온라인 환경에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nProtect GameGuard를 사용했다.[4] 2007년 8월, 일부 플레이어들이 클라이언트의 보안 구멍을 악용하여 치트(부정 행위)를 사용했고, 이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캡콤은 이에 대한 견해[103]를 발표하며, 치트 아이템을 받은 플레이어도 처벌 대상이며, 부정행위가 계속되면 업데이트가 늦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후 운영 보고서에서는 치트 행위 대응 인력은 확보되어 있으며, 대규모 업데이트 지연은 예상하지 않지만, 예상을 넘는 치트 행위 발생 시 업데이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했다.

2007년 8월 15일, 치트 대책을 위해 nProtect 업데이트가 진행되었으나, 블루 스크린 및 OS 부팅 불가 문제가 발생했다. 테크노블라드는 사과문[104]을 발표하고, 8월 17일 nProtect를 이전 버전으로 롤백했다. 2007년 10월 3일, 새로운 유료 코스에서 아이템 무한 복제(DUPE) 문제가 발생하여 긴급 점검[105]이 실시되었다. 2013년 9월에는 시질 무한 생산 버그가 발견되어, 해당 주에만 200건 가까이 계정 영구 정지(BAN) 조치가 이루어졌다.

2016년 10월, 나라현 경찰 본부는 치트 툴 사용자 1명을 사적 전자기록 부정 제작 및 공유 혐의로 체포했고,[106] 11월에는 공범자 1명을 같은 혐의로 체포했다. 캡콤은 2017년 2월 나라현 경찰 본부에 감사장을 증정했다.[107]

2007년 9월 12일, nProtect 버전 업 이후 일부 사용자 PC에서 오류가 발생했고, 이 오류가 치트 툴로 오인되어 계정이 정지되었다는 주장이 4gamer에 게재되었다.[108] 그러나 운영 측은 "nProtect에 의한 강제 종료로 계정이 정지되는 일은 없다"고 반박했고,[109] 4gamer도 "nProtect는 치트 툴 발견 시 보고 기능이 없다"는 추기를 덧붙였다. 2015년 7월, nProtect 초기화 실패로 Windows 10에서 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2개월 후 nProtect가 대응했다.

2007년 12월, 계정 정지 관련 논란이 J-CAST 뉴스에 보도되었지만,[110] 운영 측은 "회선 끊김 등으로 치트 행위로 인식되어 영구 정지되는 일은 없고, 플레이 기록 확인 후 벌칙을 적용한다"는 견해[111]를 밝혔다.

시즌 7.0 대토벌 퀘스트에서 특정 사냥단 독점, 특정 무기/방어구 강요 행위가 발생하여, 운영 측은 이를 금지 사항으로 약관에 추가했다.[112][113][114] 시즌 8.0에서는 최소 환경 PC 사용자에게 불량이 발생하여, 2010년 5월 29일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 포워드 4에서는 업데이트 직후 많은 불량이 발생하여 PC판 약 14시간, 360판 약 17시간 반 긴급 점검이 실시되었고, 이후 선행 테스트가 도입되었다.

MHF-G 서비스 개시와 함께 불량이 다발했고, 특히 360판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여 수정이 늦어졌다. G1 당시 밸런스 설정에 대한 불만이 접수되어, 업데이트 넘버를 앞당겨[115] 개선했다. PS3판 선행 체험 테스트에서 업데이트 고속화, 다운로드 시간 단축 등 개선이 이루어졌고,[116] HR30/40 공식 수렵 시험도 변경되었다.

2016년 3월, 서버 기기 갱신 후 서버 1[117]에서 대규모 장애가 발생하여 1일 반 넘게 긴급 점검이 진행되었고, 서버 갱신 부분을 원래대로 되돌렸다. 데이터는 거의 복구되었고, 이후 옵션 코스 무료 개방 등으로 보상했다. 2017년 3월 서버 갱신 후 문제는 해결되었다.

7. 제휴 캠페인

에자키 글리코(江崎グリコ)와 2007년 6월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특전 무기 "슬립 볼"(해머)을 얻을 수 있는 이벤트 퀘스트를 실시했고, 2011년 10월 3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는 특전 무기 "파피리오 세이버"(쌍검)와 "콘 스탬프"(해머)를, 2012년 2월 14일부터 8월 31일까지는 특전 무기 "포키컬 세이버"(태도)를, 201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특전 무기 "신 슬립 볼"(해머)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118]

피자헛(ピザハット)과는 2007년 7월 5일부터 9월 2일까지 특전 무기 "피자 필"(태도)을 얻을 수 있는 이벤트 퀘스트를 실시했다.

쵸슈 코리키(長州小力)와는 2007년 7월 6일부터 "쵸슈 코리키 & MHF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공식 사이트 특설 페이지에서 무비 연재 기획을 진행했고(현재는 폐쇄), 같은 해 8월 3일부터 13일까지는 쵸슈 코리키를 본뜬 방어구 "스트렝스 시리즈"를 얻을 수 있는 이벤트를 실시했다.

Acid Black Cherry와는 2008년 7월 2일부터 8월 6일까지 보컬리스트(ヴォーカリスト) yasu가 디자인 및 감수한 리오레우스를 본뜬 건랜스 "화룡총창"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프론티어(イーフロンティア)와는 2008년 7월 2일부터 2009년 7월 8일까지 특전 무기 "스트레가 에지"(태도)를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도시바(東芝)와는 2008년 12월 11일부터 2009년 11월 11일까지 오리지널 라이트 보우건 "파라 쨩 건" 등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인텔 코어(Intel Core)와는 2009년 12월 9일부터 2011년 6월 30일까지 인텔(インテル) 사의 감수를 받은 방어구 "듀오 시리즈" 등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데드 라이징 2(デッドライジング2)와는 2010년 9월 30일부터 2011년 10월 12일까지 방어구 "라이더 시리즈" 등의 특전 무기를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비트캐쉬(ビットキャッシュ)와는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오리지널 쌍검 "BC·슬라이서 I"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스트리트 파이터 (게임)(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 시리즈와는 2011년 1월 28일부터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スーパー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IV)』의 "(リュウ)"와 "춘리(春麗)"를 본뜬 방어구 세트 "스파 IV 키트"를 판매했고, 며칠 후 색상이 다른 제2탄도 등장했다. 2013년 2월 7일부터는 "(ケン)"과 "캐미(キャミィ)"를 본뜬 방어구 세트 "STREET FIGHTER 25주년 기념 키트"를 판매했다. 2014년 3월에 이들 3종의 단품 판매는 종료되었고, 같은 해 4월 GG 업데이트부터 3세트의 "스트리트 파이터 키트"로 판매되었다(Z1 업데이트 시 판매 종료). 2011년 6월 30일부터 9월 26일까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IV 아케이드 에디션』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특전 무기를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고, 『패미통』 부록이나 SCE 공식 방송에서의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IV』 등장 기념으로도 특전 방어구가 등장했다.

뱀파이어 (게임)(ヴァンパイア)과는 2011년 10월 4일부터 "데미트리(デミトリ)"와 "모리건(モリガン)"을 본뜬 방어구 세트 "뱀파이어 키트"를 판매했다(Z1 업데이트 시 판매 종료).

테르마이 로마이(テルマエ・ロマエ)와는 2012년 10월 12일부터 2013년 1월 9일까지 오리지널 무기 "테르마이 올리고"(대검)를 얻을 수 있는 이벤트 퀘스트를 실시했고, GG 업데이트 때 다시 배포되었다.

프렛츠 광(フレッツ)과는 2012년 10월 17일부터 2013년 1월 30일까지 오리지널 무기 "광도"(태도) 등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고, 이후에도 몇 차례 실시되었다.

귀무자(鬼武者) 시리즈와는 2012년 10월 19일부터 12월 3일까지 본작에 등장하는 레전드 라스타 "나타샤"의 일러스트 콘테스트가 개최되어, 『귀무자 소울(鬼武者Soul)』에 무장으로 등장했다. 성우(声優)는 쿠기미야 리에(釘宮理恵)였다. 2012년 12월 6일부터는 "아케치 사마노스케"와 "오하츠"를 본뜬 무기 세트 "귀무자 키트"를 판매했다(Z1 업데이트 시 판매 종료).

익시온 사가 DT(イクシオン サーガ DT)와는 2012년 12월 5일부터 발매되는 초회 한정 사양의 Blu-ray 특전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사용하는 무기를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또한, 제1화에 『MHF』 오리지널 몬스터 "루코디오라"가 등장한다.

전국 바사라(戦国BASARA)와는 2013년 4월 18일부터 "다테 마사무네"와 "사나다 유키무라"를 본뜬 무기 세트 ""전국 바사라 다테 마사무네의 의상"", ""전국 바사라 사나다 유키무라의 의상""을 판매했다(Z1 업데이트 시 판매 종료).

페이트/스테이 나이트(Fate/stay night)와는 2013년 4월 18일부터 "세이버"와 "아처"의 의상과 무기 세트 "Fate/stay night 키트"가 판매되었고, 특설 사이트에서 영상 공개와 배경 화면 배포를 실시했다. 그 후 "길가메쉬", "라이더"의 의상 및 무기 세트 "Fate/stay night 키트 제2탄"이 발매되었다. G7 업데이트부터는 "Fate/stay night[UBW]"와의 콜라보레이션 가챠로 "토오사카 린의 이상한 보석"이 판매되었다(2015년 10월 14일까지).

하츠네 미쿠(初音ミク)와는 2013년 4월 18일부터 미쿠의 의상을 재현한 방어구나 미쿠의 노래가 들어간 오리지널 무기 세트 "하츠네 미쿠 키트"가 판매되었고, 특설 사이트와 콜라보레이션 영상도 실시했다. 2016년 11월 30일부터 2017년 11월 15일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음표 모양의 결정"을 판매, 유키 미쿠 및 래빗 유키네의 의상을 본뜬 방어구 등을 얻을 수 있었다.

후지미 드래곤 북(富士見ドラゴンブック)과는 2013년 7월 3일부터 우레시노 아키히코(嬉野秋彦)의 소설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G(1) 붉은 사냥단, 가시차룡의 계곡으로』에 등장하는 사류가 장비하는 방어구 "쿠쿠보 시리즈", 제쿠토가 장비하는 방어구 "귀신/동자 시리즈"를 얻을 수 있는 오리지널 퀘스트를 배포했다.

파이어 엠블렘 각성(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覚醒)과는 2013년 12월 12일부터 Wii U판 한정으로, 헌터 라이프 코스 90일 이상 또는 계속 코스 등록으로 "크롬"과 "루키나"의 의상을 본뜬 무기의 생산권을 얻을 수 있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진격의 거인(進撃の巨人)과는 2014년 4월 23일부터 병단을 본뜬 무기 세트 "진격의 거인 키트"가 판매되었고(2015년 3월 25일 판매 종료), 이벤트 퀘스트도 실시했다.

IS 〈인피니트 스트라토스〉(IS 〈インフィニット・ストラトス〉)와는 2014년 4월 30일부터 등장 캐릭터를 본뜬 무기 세트 "IS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키트"가 판매되었다.

영웅전설 섬의 궤적 II(英雄伝説 閃の軌跡II)와는 2014년 7월 24일부터 "린"과 "알리사"의 의상과 무기 세트 "섬의 궤적 II 키트"가 판매되었고(2016년 1월 20일에 판매 종료), 임시 계약 라스타 이벤트도 실시했다.

어디에도 없는 곳(どこでもいっしょ)과는 2014년 8월 20일부터 PS3판·PS Vita판 한정으로, "토로(トロ)"와 "쿠로(クロ)"를 본뜬 무기 세트 "어디에도 없는 곳 키트"를 판매했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魔法少女まどか☆マギカ)와는 2014년 11월 20일부터 2015년 2월 18일까지 5명의 마법소녀나 "큐베(キュゥべえ)", "과자의 마녀"의 의상이나 무기를 갖춘 부채 고양이 복권에 도전할 수 있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기적과 절망의 그리프 시드"를 판매했다. 임시 계약 라스타 이벤트로 큐베가 등장했다.

에반게리온 신극장판(ヱヴァンゲリヲン新劇場版)과는 2015년 7월 23일부터 2016년 7월 20일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인류 보완 계획서"를 판매, 이카리 신지(碇シンジ)·아야나미 레이(綾波レイ)의 플러그 슈트나 EVA 초호기·영호기를 본뜬 방어구와, EVA의 무기를 본뜬 무기를 얻을 수 있었다. 임시 계약 라스타 이벤트로 EVA 초호기·영호기가 등장했다. G9에서 "NERV 극비 자료"라는 별도 아이템이 추가되어(판매 기간: 2015년 11월 19일 ~ 2016년 11월 16일), 나기사 카오루(渚カヲル) 또는 시키나미 아스카 랑그레이(惣流・アスカ・ラングレー|式波・アスカ・ラングレー)의 플러그 슈트나 Mark.06 또는 EVA 2호기를 본뜬 방어구 등을 얻을 수 있었다.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賭博黙示録カイジ|逆境無頼カイジ 破戒録篇)과는 2016년 4월 21일부터 2017년 3월 29일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E카드"를 판매, 카이지·미코(カイジ・美心)를 본뜬 방어구나, 한정 가위바위보 카드 및 전류 철골 건너기의 철골을 본뜬 무기 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5월 25일까지 2종류의 게임 내 이벤트가 실시되었다. 카이지 본인이 동행하는 특수 설정의 이벤트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한정 가위바위보"에 참가할 수 있었고, 승리하면 특별한 채팅 액션을 얻을 수 있었다. 7월 27일부터 다시 개최되어, 8월 10일까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프리미엄 상품 추첨권을 얻는 등의 특전이 제공되었다. 계절 오브젝트로 전류 철골 건너기가 설치되었다(4월 27일 ~ 5월 11일 제외).

그들이 있는 섬(彼岸島)과는 2016년 8월 10일부터 2017년 7월 26일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흡혈귀의 혈액"을 판매, 작중의 통나무를 본뜬 무기나, 흡혈귀 "미야비"에 얽힌 무기를 얻을 수 있었다. 2016년 9월 7일까지 "어인형 사귀를 격퇴한다"라는 내용의 콜라보레이션 퀘스트도 배포되어(10월 12일 ~ 11월 30일까지 재배포), 클리어 횟수에 따라 특별한 칭호나 스테이터스 화면용 배경 화면을 얻을 수 있었다.

임페리얼 사가(Imperial SaGa)와는 2017년 2월 16일부터 2018년 2월 14일 기간 한정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사가 콜라보 복권"을 판매, 사가 시리즈에 등장하는 무기나 등장인물을 본뜬 방어구를 얻을 수 있었다. 결전장에서 플레임 타이런트를 토벌하는 것과, 콜라보레이션 가챠로 얻을 수 있는 "고도"를 강화해 나간 결과 나타났다는 설정으로 하르드멜그와 싸운다는 내용의 콜라보레이션 퀘스트가 배포되었다.

NieR:Automata와는 서버 1/2 한정 콜라보레이션으로, 2017년 3월 1일부터 한정 무기 및 방어구가 배포되었고, 2017년 4월 19일부터 기간 한정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NieR 콜라보 복권"을 판매, 콜라보레이션 장비를 얻을 수 있었다. 기계 생명체의 가면을 쓴 차차부를 토벌한다는 내용의 콜라보레이션 퀘스트도 배포되어, 한정 칭호와 스테이터스 화면의 배경 화면을 얻을 수 있었다.

판타시 스타 온라인 2(ファンタシースターオンライン2)와는 2018년 10월 31일부터 콜라보레이션을 시작했다. 2019년 5월 15일까지 기간 한정으로 콜라보레이션 가챠용 아이템 "PSO2 복권"을 판매, 같은 작품에 등장하는 무기나 등장인물을 본뜬 방어구를 얻을 수 있었다. 같은 작품의 마스코트 캐릭터 "라피"와 접촉할 수 있다는 내용의 콜라보레이션 퀘스트도 배포되어, 파트너 냥이용 방어구와 스테이터스 화면의 배경 화면을 얻을 수 있었다. 계절 오브젝트로 같은 작품에 등장하는 "A.I.S"가 등장하여, 광장의 BGM을 같은 작품의 "레아드로☆KOI☆사랑!"으로 변경할 수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 Sales Charts provided by Media Create http://www.gamekyo.c[...]
[2] 웹사이트 Monster Hunter Frontier Z Goes Free-to-Play For Its Final Month Of Service https://www.silicone[...] 2019-11-13
[3] 웹사이트 Monster Hunter Frontier Z to end service on December 18 in Japan https://gematsu.com/[...] 2019-06-19
[4] 웹사이트 Xbox 360:『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G』公式ビギナーサイト http://xbox360.mh-fr[...]
[5] 웹사이트 Monster Hunter Frontier could leave Japan https://www.destruct[...] Enthusiast Gaming 2010-02-05
[6] 문서 G1以降は初回インストール時に途中までのデータをまとめてインストールできるパッケージとなるデータをインストールするためのディスクとの2枚組。
[7] 문서 メディアクリエイト調べ
[8] 문서 Windows 10はnProtect側の問題により2015年9月末よりの対応となった。なお[[Microsoft Windows XP|Windows XP]]および[[Microsoft Windows Vista|Windows Vista]]はOSサポート終了の関係で動作保証の対象外となっているだけであるとのこと([http://cog-members.mhf-z.jp/sp/news/8007.html 4月9日 「Windows® XP日本語版」サポート終了のお知らせ] [http://cog-members.mhf-z.jp/sp/news/12172.html 【4月11日実施】「Windows® Vista日本語版」サポート終了のお知らせ])。
[9] 문서 G3以降トライアルコースの範囲内のプレーであればゴールドメンバーシップなしでもプレー可能。
[10] 웹사이트 Kotaku JAPAN - Xbox 360版『モンハン フロンティア』、サーバー&コントローラーはどうなのよ?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第340回 開発運営レポート http://cog-members.m[...]
[12] 웹사이트 『利用権』の「PS4」と「PS3/PS Vita」の相違点 http://ps4-members.m[...]
[13] Youtube MHF-Z 『サーバー統合に向けた対応についてのメッセージ動画』 https://www.youtube.[...]
[14] 웹사이트 MHF-Z Xbox 360版およびWii U版のパソコン版へのアカウント連携 http://members.mhf-z[...]
[15] 문서 当初からPS3版とPS Vita版はデータの共有が可能な共通サーバーと発表されていたが、PS Vita版のリリースがPC版とPS3版のサーバー統合より後になり、サーバー自体はPC版とも共通のものになっている。入れるワールドの違いも、元々はPS3/Vita共通のワールドとPS3専用ワールドという形で予告はされていたが、PC版とのサーバー統合によりPS3とPCは同じ側として扱われる形で「PC/PS3専用」「PC/PS3/PS Vita共通」となり、また先行体験テストでの要望により「Vita専用」という設定のワールドも実装されている。
[16] 웹사이트 MHF-Z サーバー1&2統合実施 http://members.mhf-z[...]
[17] 문서 その前段階としてキャラクターのIDが変更され一部設定が初期化されたケースはある。
[18] 웹사이트 10月18日の公式ツイート https://twitter.com/[...]
[19] 문서 マイギャラリーの家具配置がパッドで操作可能になる、などがシーズン8.5での変更点として挙げられている。ただしシーズン8.5の新モンスターであるドラギュロスは登場していない。
[20] 웹사이트 2015年8月26日の開発運営レポート、[http://cog-members.mhf-g.jp/sp/news/10304.html 同日より開催の剛種~烈種武具強化プロジェクト]の告知 http://cog-members.m[...]
[21] 웹사이트 『MHF-Z』の手ごたえや最新アップデートを宮下Pが解説。サービス開始10周年の節目に向けた想いを明かす https://dengekionlin[...]
[22] Youtube MHF-Z『【年末ご挨拶編】 開発運営レポート(動画版)』 https://www.youtube.[...]
[23] 웹사이트 【重要】『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Z』2019年12月18日(水)サービス終了のお知らせ|MHF-Z公式メンバーサイト http://cog-members.m[...] 2019-06-19
[24] 문서 当時の表記ではPC版における料金の2/3に当たる値が表示されていたが(ハンターライフコース30日分が930MSPなど)、マイクロソフトポイントを日本円に換算するレートを考慮すると同程度の値となっていた。
[25] 문서 PS4版からはPS3版やPS Vita版用の利用権の購入はできないので注意。
[26] 문서 G10以降はG9.1までの仕様におけるHR51〜99をHR4として扱っている。
[27] 문서 公式には「72時間+定期メンテナンスと重なった場合の補填用の6時間(2013年9月中旬以降)」という扱いである。
[28] 문서 GRPはG級ハンター自身、GSRPはG級ハンターが武器種ごとに獲得する経験値。G級以前のものに対して設定されているHRPは、G10以降はパートナーとパートニャーのみ獲得する形になる。なお、G9.1までの仕様ではG級以前においても武器種ごとの経験値となるSRPが存在していた。
[29] 문서 10時間+定期メンテナンスに重なった場合の補填用の6時間。
[30] 문서 この当時は定期メンテナンスの実施時間が4時間だったため、補填用の追加分も4時間だった。
[31] 문서 これにより、同一アカウント内の複数キャラクターで共有する際にエクストラコースが不要になった。
[32] 문서 PC版の公認ネットカフェ向けにNポイント増量のキャンペーンが実施されている場合は、その期間中に受け取ったNコース特典のNポイントに同様の倍率設定が行われる形で影響を受ける。
[33] 웹사이트 2014年6月30日の公式ツイート https://twitter.com/[...]
[34] 웹사이트 2016年8月28日の公式生放送 https://live.nicovid[...]
[35] Youtube MHF-G『オリジナルモンスター紹介ムービー(コメント付き)』 https://www.youtube.[...]
[36] 문서 厳密には、シャンティエンのみHR7で発生するギルド要請クエストとしてG級以前から登場する。
[37] 문서 繁殖のため他の群れから雌個体となるノノ・オルガロンを奪おうとするという設定が存在している。
[38] 문서 『モンスターハンターポータブル 2nd G』にも登場するが、一部エリアのつながりなどが異なる。
[39] 문서 データ自体はG1で実装されておりプロモーションムービーでも登場するが、実際に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のはG2から。
[40] 문서 『モンスターハンター4』『モンスターハンタークロス』にも登場するが、『クロス』同様、ベースキャンプを共有する天空山フィールドは追加されていない。
[41] 문서 『モンスターハンター3rd』『モンスターハンタークロス』『モンスターハンターダブルクロス』にも登場するが、これらの作品と異なり、バリスタや高台が設置されていないなどの変更点がある。
[42] 문서 G10以降における表記。G9.1までにおけるHR100〜299という扱いになっているが、秘伝書システムの変更点を考慮するとHR300以上+SR200〜299という趣が強い(秘伝書特殊効果は防御力UPのみ習得している点や、HC適正レア度が7になっている点により、旧仕様におけるSR200台と考えられる)。
[43] 문서 剛種+若個体は確認されていないが、個体の能力値パラメータが下位やそれ以下のものを剛種と称して出しているケースはデイリークエストに存在し、「秘伝天昇!シリーズ」はその上に特異個体(クエストがハードコア専用であることによる)という設定となっている。
[44] 문서 G9.1で剛種の攻撃力が「上位よりやや上」程度に緩和されている。
[45] 문서 G9.1までは秘伝書を獲得した上で武器種ごとにSRを300以上に上げることが覇種クエスト参加や秘伝防具生産の条件であったが、G10以降はこれらが可能になる段階がHR6となっている(ただし通常の秘伝防具生産はHR5〜に緩和されており、HR6〜が生産条件であるのは秘伝防具EXのみ)。なおHC適正レア度は10となっておりこれについては旧仕様のSR500台に相当するが、特殊効果は旧SR999の会心率UP以外は習得済み。
[46] 문서 例外として、ナルガクルガは『モンスターハンターポータブル 2nd G』が初出。
[47] 문서 この仕様変更との関連は不明だが、MHF-Z当初「狩人応援コースの特典による10枠固定が機能しなくなった」という不具合が存在した。
[48] 문서 G9.1までにおいても、デイリークエスト「撃退上等!シリーズ」などで覇種の撃退が目的となるクエストが不定期に配信されていた。
[49] 문서 G10以降もイベントクエストの枠で登場し後に常設クエストに移行されたケースがある。
[50] 문서 ただしG級クエストには参加人数やクエスト中の死亡回数による獲得Gzの減算はない。
[51] 문서 G10以降の仕様では受取時点でG級秘伝書への強化が可能なため、ひと手間がかかるだけで秘伝書取得と同義ではあった。
[52] 문서 フォワード.4では秘伝書育成ミッションの効果の1つだったが、フォワード.5より攻撃力強化はSRに連動する形に変更された。なお、フォワード.4で攻撃力強化に当たっていたミッションの効果は攻撃力上限開放に変更されている。
[53] 문서 レア度制限自体は「HCクエストにおけるボーナスの対象」として存続しており、低SRの内は剛種武器など既存の強力な武器ではノーマルクエストと同程度のHRP/SRP/ゼニーに抑えられる。
[54] 문서 秘伝書を装備してノーマル設定のクエストを達成すると入手できたアイテム。これをHCクエストの受注・参加条件として使用していた。
[55] 문서 G9.1まではHRP/SRPにも適用されていたが、G10でシステムが変更されこれらへの補正は廃止された。
[56] 문서 G9.1までの仕様では穿龍棍もSR1〜順次上げていく必要があったため、G級武器にレア度指定のシジルを焼き付けてHCクエストにおける獲得SRPを増やすことが行われていた。
[57] 문서 G9.1までにおけるHR999+どれか1つの武器種のSR999を、G10ではHR7として扱う。ただし換算処理においては、どの武器種でもSR999に到達していなかったHR999到達済ハンターや、HR999試練を達成していなかったなどの理由でHRが999に到達していないSR999到達済ハンターもHR7として扱われる(HR/各武器種SRのいずれか最高値を基準としているため)。
[58] 문서 咆哮・風圧・振動についてはG10で登場したG級のグァンゾルムが使用したのが最初。
[59] 문서 ゲーム内では「モンスター」としか表記されていない。
[60] 문서 熱線が極太になっている(これ自体は特異個体もそうだが、なぎ払いのスピードが通常個体に準拠している)「大ハッスル!鎧竜限界突破」のグラビモスなど。
[61] 문서 当時は「ハンターランク100でアイテム・装備共に+1ページ」「キャラバンでの知名度ランクが上がるごとにアイテムのみ+1ページ」といった感じで設定されていたが、ハンターランクやスキルランクが条件となっていたものについてはG10で、キャラバンの知名度が条件のものはG10.1で、ハンターランクの上昇に応じて相当数分がまとめて発生するように変更されている。
[62] 문서 雇用に限りホルク教官が仲介するが、ホルク教官自身パートニャーについては全くわからないのでプレイヤーに丸投げしていると取れる描写がある。
[63] 문서 G級のものに限り、支援も同じ場所の別エリアで進行するクエストという形になっている。
[64] 문서 ただしG9において、原種(HR2〜)および狂暴期(HR5〜)については復活支援による復活可能回数が大きく削減されているため、復活支援切れによる失敗の可能性は上がっている。
[65] 문서 G5の時には、パーティー人数を3人にして実参加者が2人だった場合、どちらのプレイヤーもレジェンドラスタと契約していなければ同行するパートニャーは受注者のもので固定されるという現象が存在していた。
[66] 문서 コンテンツの内容的にはG9.1までにおけるHR10以下が該当するが、G10アップデートにおける変換処理ではHR1のみが該当であり、また旧仕様のHR10以下のコンテンツの内グークはHR2に移行している。
[67] 문서 G級到達前でも秘伝書コースとの併用特典で暴風圧無効・耐震+2は発生しており、現在は両コース併用という前提条件はあるがG級到達前でも実質的に豪放+3は可能。
[68] 문서 G10以降においてはラスタの契約可能条件はHR2〜であるが、フォスタはHR1の時点で同行可能。G9.1までの仕様ではこのしきい値がHR11(フォスタはHR10以下でも同行可能)となっていた。
[69] 웹사이트 MHF-Z PS4ビギナーズサイト http://ps4.mhf-z.jp/[...]
[70] 웹사이트 2008年4月22日の運営レポート https://web.archive.[...] 2016-08-27
[71] 문서 ガンランスは砲撃タイプ、狩猟笛は各アクションで演奏可能な音色、スラッシュアックスFは武器ごとに設定されているビンがその場所に表示されている。
[72] 문서 強化段階がFXになる防具は同モンスターの亜種による素材で派生していないものに限られている。
[73] 문서 フォワード.5のオディバトラスやG3以降のオリジナルモンスターの防具の内G級以前のものは剛種防具系統に一本化されており、これらのFXは覇種防具という別カテゴリである。
[74] 문서 後のアップデートで、剛種武器におけるその効果の大きさをLv3と表記する形で他の武器にも同様の効果が用意された。
[75] 문서 特性自体は生産時点のものでも全て発生するが、生産時点では攻撃力や斬れ味といったパラメータが他の武器と比べて明らかに劣っているものも存在する(生産時点ではゲージが赤一色であり強化しても橙や黄色しか出てこないが、強化済のものをスキル「斬れ味レベル+1」を発動した状態で使うと「斬れ味レベル+1」による追加分の斬れ味が紫となっているドドン・マウンテンなど)。
[76] 문서 シーズン9.0で「一度強化し剛種武器の性能が完成した段階のもののレア度を11に統一する」という形で全武器のレア度が改定されており、以後も性能が完成した段階のものをレア度11とすることは踏襲されている。
[77] 문서 段階がなく始種武器になっても強化されないスキルも存在する。
[78] 문서 G級武器・G級覇種武器(烈種武器・始種武器含む)・G級防具各種は、レア度のところにGRが表示される。ただしレア度指定シジルを焼き付けたG級武器はそのシジルによるレア度指定が優先される。
[79] 문서 設定上は「伝説の職人は親方にLv11以上の強化に関することを教えた後旅に出た」とされており、G8以降伝説の職人は登場しなくなっている。なお元々は剛種武器や剛種防具などの生産は伝説の職人が行っていたが、これらはG1の時点で親方が行うように変更されており、G1以降「G級武器の強化」という新たな役割を担っていた。
[80] 문서 G級秘伝防具を含む。なお2系統各5部位全てでFX Lv7以上への強化経験があることが条件であり、GX Lv7まで強化して装飾品に精錬してしまったものがあっても構わない。
[81] 문서 G6まではG級武器・G級覇種武器・烈種武器の使用時は狩護防具では効果を発動できなかった。G7で狩護防具効果の発動条件において武器の制限が廃止されている。
[82] 문서 G1当初は不具合で付いており一度削除されたが、G3中間アップデートで正式なものとなり復活した。
[83] 문서 以前は入魂についてはハンターライフコースは必須ではなかったが、2013/12/10より入魂にも必須となった。ただしその後も数回、ハンターライフコースがない状態でも入魂できる不具合が発生している。
[84] 문서 入魂祭終了直後の定期メンテナンス中は「集計祭」と位置付けられている。
[85] 웹사이트 第476回 開発運営レポート http://cog-members.m[...]
[86] 문서 ハンターライフコースがある場合パートナーも同行するという特典がG7で追加されている。
[87] 웹사이트 『MHF-G』G10アップデートの反響は!? スラッシュアックスFの評価や新スタイル、遷悠種ナルガクルガに迫る https://dengekionlin[...]
[88] 웹사이트 第472回 開発運営レポート http://cog-members.m[...]
[89] 문서 進行によってレジェンドラスタの使用可能武器に特定の烈種武器が追加される。
[90] Youtube MHF-G6トレーラームービー https://www.youtube.[...]
[91]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運営レポート http://daletto-membe[...]
[92] 웹사이트 運営レポート・フロ通.com出張版 https://www.famitsu.[...]
[93] 웹사이트 MHF 公式ツイート (MHF_official) on Twitter https://x.com/MHF_of[...]
[94]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ゲーム内イベント http://daletto-membe[...]
[95] 웹사이트 シーズン9.0初日に同時接続数7万人を記録。「MHF」連載2回目はオリジナルモンスター特集、剛種や特異個体のムービーを公開 https://www.4gamer.n[...]
[96] 웹사이트 パッケージ累計販売本数60万本突破キャンペーン! https://archive.is/2[...] 2012-07-12
[97] 웹사이트 2010年 年間ランキング PCソフト https://archive.is/2[...] Amazon.co.jp 2012-07-17
[98] 웹사이트 オンラインゲーム ネットカフェ稼働ランキング https://www.4gamer.n[...]
[99] 웹사이트 Xbox360ダウンロード販売ランキング https://www.inside-g[...]
[100] 웹사이트 Xbox 360版『MHF-G』がXbox Live 2013年オンラインゲームランキングで、プレイヤー数1位&総プレイ時間1位の2冠を達成! https://www.famitsu.[...]
[101] 웹사이트 コンシューマ・オンラインゲーム事業も「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 オンライン」等が健闘 http://www.capcom.co[...] capcom.co.jp
[102] 웹사이트 オンライン専用ゲームの『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 オンライン』シリーズ(パソコン、Xbox 360用)が安定した人気に支えられ好調裡に終始 http://www.capcom.co[...] capcom.co.jp
[103]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現在、多数のお問い合わせをいただいている利用規約違反行為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7-08-28
[104] 웹사이트 "『nProtect:GameGuard』(Ver.1058)アップデートに起因する『モンスターハンター フロンティア オンライン』動作不良問題に関するお詫び" http://www.technoblo[...]
[105]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不具合の悪用についてのご注意 https://web.archive.[...] 2007-10-11
[106] 웹사이트 不正プログラム(チートツール)利用によるチート代行者の逮捕に関するお知らせ http://cog-members.m[...]
[107] 웹사이트 【追記】不正プログラム(チートツール)の提供及び不正行為幇助者逮捕に関するお知らせ http://cog-members.m[...]
[108] 뉴스 4Gamer.net ― 「MHF」運営レポート発表、nProtect関連のトラブルなどを報告 https://www.4gamer.n[...] 4Gamer.net
[109] 웹사이트 オンライン&PCゲーム情報サイト「4gamer」において掲載されている記事内容に関しまして https://web.archive.[...] 2007-10-12
[110] 뉴스 J-CASTニュース「カプコンオンラインゲーム アカウント停止「冤罪」騒動」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111]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第24回運営レポート 利用停止に関する代表的なお問い合わせ https://web.archive.[...] 2007-12-13
[112]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第123回運営レポート 「大討伐クエスト」の占有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9-12-12
[113]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第125回運営レポート 利用規約違反者対応状況 https://web.archive.[...] 2009-12-25
[114] 웹사이트 MHF公式サイト 運営・サービス情報 【追記】「大討伐クエスト」の禁止事項について http://daletto-membe[...]
[115] 문서
[116] 뉴스 PS3版『MHF-G』先行体験テストでの意見や要望を元にした改善項目を公開 https://www.famitsu.[...]
[117] 문서
[11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